본문 바로가기
[사회 & 경제 & 정책] 그러모아

2025 추석 물가안정 정책 총정리: 바가지요금 신고부터 전통시장 주차 완화까지

by 그러모아 2025. 9. 16.
반응형

추석이 다가오면 반가운 귀성길과 풍성한 명절 음식만큼이나 소비자들이 걱정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바가지요금’**입니다. 특히 전통시장이나 관광지, 지역 축제 현장에서 명절 분위기를 악용한 폭리 사례가 반복적으로 발생해왔죠. 올해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근절하기 위해 전국 지자체와 함께 강력한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핵심 요약

  • 전국 지자체 바가지요금 신고센터 상시 운영
  • 합동점검반 구성: 관광지·축제·시장 현장 조사
  • 가격표시제 위반 집중 점검
  • 9월 26일~10월 9일 특별대책기간 운영
  • 전통시장 주변도로 2시간 주차 허용

1. 바가지요금 신고센터 상시 운영

올해는 명절 기간에만 한시 운영하던 신고센터를 상시 운영 체계로 바꿔, 소비자가 불합리한 요금을 지불했을 때 즉시 신고할 수 있습니다. 접수 즉시 현장 조사에 나서므로 대응 속도가 훨씬 빨라집니다.

2. 합동 점검반의 현장 조사

행정안전부와 각 지자체가 합동으로 점검반을 꾸려 관광지·지역 축제·전통시장을 직접 방문합니다. 가격표시 위반, 과다요금 부과 등을 집중 단속하며, 적발 시 과태료 등 행정 조치가 즉시 취해집니다.

3. 특별대책기간 운영

9월 26일부터 10월 9일까지를 ‘특별대책기간’으로 지정해 명절 전후 집중 단속을 실시합니다.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시장을 방문할 수 있도록 성수품 가격도 실시간으로 관리됩니다.

4. 전통시장 주차 편의 제공

명절 대목에 전통시장 방문을 유도하기 위해 전국 439개 전통시장 주변도로에 한시적으로 최대 2시간 주차 허용 정책을 시행합니다. 장보러 오는 시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생활 팁

  1. 가격표시 확인하기: 물품 구매 전 가격표시가 정확한지 먼저 확인하세요.
  2. 의심 시 즉시 신고: 가격이 의심되면 현장에서 바로 신고센터로 연락할 수 있습니다.
  3. 전통시장 장보기 활용: 주차 2시간 무료 정책을 활용하면 교통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합리적 소비가 가능합니다.
  4. 사전 가격 비교: 농산물, 수산물 등 성수품은 온라인 공공 데이터에서 평균가를 확인 후 방문하면 바가지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번 추석을 **“바가지요금 없는 명절”**로 만들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도 신고센터 활용, 가격표시 확인, 합리적 소비 습관을 실천한다면 더욱 즐겁고 풍성한 명절을 보낼 수 있겠죠.

올해 추석은 공정한 거래와 따뜻한 상생의 장이 되길 기대해 봅니다.


 

반응형